<p></p><br /><br />전자담배 폭발사고 관련 소식 사회부 우정렬 차장과 뉴스분석으로 이어갑니다. <br> <br>[질문]미국에서 일어난 사건이지만 국내 전자담배 이용자들도 폭발 장면 보면 불안하실 것 같아요. <br><br>네, 요즘 전자담배 피는 분 많다보니 바다 건너 소식이지만 남일 같지 않다는 분들 많았는데요. <br> <br>전자담배 이용자들의 얘기 들어볼까요? <br> <br>[송영준 / 대전시 유성구] <br>"무섭죠. 무섭고 이용을 덜 하고 싶고, 아무래도… " <br> <br>[박성섭 / 서울 종로구] <br>"터지는 것(전자담배) 보다는 그냥 보통담배 피우는 생각을 하게되죠, 불안하니까." <br><br>[질문]당장 이번에 미국에서 폭발한 전자 담배가 내가 쓰는 기종이 아닐까 궁금해 하실 것 같아요. <br> <br>네 전자담배는, 어떤 형태의 니코틴을 쓰느냐에 따라 액체 니코틴을 쓰는 액상형과 담배 모양 연초를 쓰는 궐련형으로 나뉘고요. <br> <br>여기서 다시 연기의 양과 강도를 조절할 수 있는 모드형과 길쭉한 연필 모양의 스틱형으로 나뉘는데요. <br> <br>국내에선 궐련형 스틱 담배를 많이 피우시죠. <br> <br>이번에 미국에서 폭발 사고가 난 건 액상 모드형 전자담배입니다.<br> <br>필리핀 회사 제품인데, 담배 연기가 많이 나는 걸 좋아하는 애연가들이 찾는 제품으로 알려져있습니다. <br> <br>[질문]사고가 난 전자 담배가 왜 폭발했는지 원인은 밝혀졌나요? <br> <br>이번 사고는 아직 원인 조사가 진행되고 있고요. <br><br>미연방재난관리청. FEMA가 지난 7년 간 전자담배 폭발/화재 사고를 분석한 보고서를 찾아 봤는데요. <br> <br>전자담배를 주머니에 넣고 있을 때나 담배를 피우고 있을 때, 그리고 충전하고 있을 때 주로 폭발이나 화재 사고가 났습니다. <br> <br>FEMA는 전자 담배에 들어있는 리튬 이온 배터리가 위험요소라고 지적했는데요. <br> <br>충전 용량을 넘어 과충전 상태가 되거나 회로 합선으로 배터리가 과열되면 폭발이나 화재 가능성이 있다는 겁니다. <br> <br>그래서 전자담배에는 배터리 과열을 막는 안전장치가 필수적인데요. <br> <br>일부 저가제품은 사정이 다릅니다. <br> <br>전문가 얘기 들어보시죠. <br> <br>[선우준 / 공학박사(배터리 컨설팅 업체 대표)] <br>"폭발을 막기 위한 보호회로라는 게 들어있거든요? 보호회로를 코스트(가격)을 맞추기 위해서 빼는 경우가 많아요. 폭발할 수 밖에 없죠." <br> <br>[질문]그렇다면 지금 국내에서 시판 중인 전자담배들은 안전한가요? <br><br>국내에서 많이 피우는 아이코스나, 릴, 글로 같은 전자담배도 작동 방식이나 배터리 성분이 비슷하기 때문에 100% 안전하다고 말하긴 어려운데요. <br> <br>하지만 이들 제품 판매사들은 "국내 안전인증도 받았고, 배터리 폭발이나 화재를 방지하는 안전장치가 작동하게 설계해서 안심해도 된다"는 입장입니다. <br><br>하지만 시중에서 판매 중인 일부 저가 전자 담배는 수입/유통 경로가 불투명하고 국내 안전인증 통과했는지 확실치 않은 것들도 있거든요. <br> <br>이런 제품은 가급적 쓰지 않는게 좋겠습니다. <br> <br>[질문]혹시 모를 폭발 사고를 막으려면 전자담배를 어떻게 사용하는게 좋을까요? <br> <br>네 국내 시판 제품이라면 제가 들고 있는 것처럼, 전기 안전기준을 통과한 걸 보여주는 'KC 마크'가 있는 지 구입 전에 먼저 확인해 보시고요. <br><br>저렴하단 이유로 규격이나 용량이 다른 배터리를 사용한다거나, 휴대전화 충전기처럼 전압이 안 맞는 다른 전자기기 충전기를 쓰는 건 금물입니다. <br> <br>또 고온에서 폭발 위험이 커지는 배터리의 특성상 전자담배를 뜨거운 장소에 두는 것도 피해야 합니다.== <br><br>갑자기 전자담배가 뜨거워진다 싶으면 즉시 충전이나 사용을 멈추는게 피해가 커지는 걸 예방하는 방법입니다. <br> <br>네 여기까지 듣겠습니다. 사회부 우정렬 차장이었습니다.